웹사이트상위노출 홈페이지상위노출 사이트상위노출”축제로 도시가 살아났다”… 공주, 백제문화제 경제효과 ‘톡톡’

웹사이트상위노출 홈페이지상위노출 사이트상위노출”축제로 도시가 살아났다”… 공주, 백제문화제 경제효과 ‘톡톡’

[공주=뉴시스]송승화 기자 = 충남 공주시가 주최한 ‘제71회 백제문화제’가 12일 금강신관공원에서 폐막했다. 지난 3일부터 10일간 열린 이번 축제는 ‘세계유산 백제, 동탁은잔에 담다’를 주제로 공산성, 무령왕릉과 왕릉원, 금강신관공원 일원에서 다채롭게 펼쳐졌으며 총 70만여명의 관람객이 다녀가며 성황을 이뤘다.

개막식에서는 1071대의 드론이 밤하늘을 수놓으며 백제의 찬란한 문화를 시각적으로 구현했다. 시는 정지산 천제단에서 백제의 혼불을 채화하고 무령왕릉과 왕릉원에서 웅진백제 5대왕 추모제를 봉행하는 등 제례의 격을 높였다.

올해 축제는 시민 참여형 콘텐츠가 두드러졌다. 실감형 융복합 공연 ‘웅진판타지아’, 대형 거리 퍼레이드 ‘웅진성 퍼레이드’, 백제 상장례를 현대적으로 재현한 ‘무령왕의 길’, 미디어아트와 야간 조명이 어우러진 ‘웅진백제별빛정원’, 역사체험 마을 ‘백제마을 고마촌’ 등이 큰 호응을 얻었다.

세계유산 등재 10주년을 기념한 특별전 ‘백제 인사이트’에서는 백제역사유적지구의 가치와 등재 과정을 소개하고, 웅진백제 문화를 미디어아트로 구현해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추석 연휴와 가을 정취가 맞물리며 가족 단위 관람객의 발길이 이어졌고, 미르섬 부지에는 국화·해바라기·코스모스 등 100만 송이의 가을꽃이 만개해 형형색색의 꽃길을 이뤘다. 블랙이글스 에어쇼, 코요태·다이나믹듀오 등 초청 공연도 축제의 흥을 더했다.

일본 나고미정·모리야마시·야마구치시, 필리핀 바기오시 등 국외 교류도시와 국내 6개 도시 대표단이 방문해 백제를 매개로 한 국제 교류의 장도 마련됐다.

공주시민 자원봉사자와 지역 예술단체, 청소년 등 2000여명이 축제 운영에 참여하며 시민 주도형 축제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했다”며 “축제장 곳곳에서는 지역 농·특산물 판매와 상권 연계 이벤트가 펼쳐지면서 관광·소비·교류가 하나 된 축제로 도시가 살아났다”는 평을 듣고 있다.

최원철 공주시장은 “백제문화제는 시민이 주체가 되어 만든 축제이자,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문화유산의 장이었다”며 “앞으로도 백제문화제가 세계 속 역사문화도시 공주의 상징으로 더 발전해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song1007@newsis.com 웹사이트상위노출 홈페이지상위노출 사이트상위노출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